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JavaScript
- 웹 해킹 기초
- SQL 인젝션
- sql injection table name
- Injection 숫자형
- Injection 취약점
- 웹서버구축
- portswigger academy
- SQL 주석
- http 취약점
- web 취약점
- sql injection
- 웹 기초
- SQL INJECTION DB NAME
- BOM 객체
- DOM 객체
- Union injection
- sql 인젝션 기초
- Injection 공격 기초
- 웹 보안
- JS
- Linux
- web 보안
- SQL Injection basic
- HTTP request smuggling
- 공부하는 블로그
- php-fpm
- SQL having group by
- nginx
- sql injection 데이터 추출
- Today
- Total
IMLENA
[서버구축] 로드밸런싱 - Hproxy, Keepalived 본문
서버를 운영할 떄 과부화등의 이유로 서버가 다운되고 가용성이 침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
Load Balancing을 한다.
쉽게 말해 2개의 서버 를 두고 2개의 서버가 번갈아 가며 또는 동시에 main 서버로 움직이게 하여 부하분산을 시키는 것이다.
실제 서버는 이것 보다 훨씬 복잡 하지만,
실습이니 간단히 웹서버에 대해서만 부하분산을 걸고 자 한다.
172.30.1.0/24는 외부
172.30.10.0/24는 내부
CentOS6.7 이용
1. Keepalived, Haproxy 설치
[root@localhost ~]# yum -y install haproxy keepalived
[root@localhost ~]# rpm -qa haproxy
haproxy-1.5.18-1.el6.x86_64
[root@localhost ~]# rpm -qa keepalived
keepalived-1.2.13-5.el6_6.x86_64
2. Haproxy 설정
vi /etc/haproxy/haproxy.cfg
frontend main *:80
# use_backend static if url_static
backend app
balance roundrobin
server httpd1 172.30.10.1:80 check
server httpd2 172.30.10.2:80 check
파일 내용에서 backend app과 frontend 부분만 수정 해준다.
* 실행시 오류
Starting frontend main: cannot bind socket [0.0.0.0:80]
Haproxy 이용 하려는 서버에 80번 포트가 이미 사용 중인 경우
Netstat -nltp
Service httpd stop
[root@localhost ~]# service haproxy start
haproxy (을)를 시작 중: [ OK ]
3. Keepalived 설정
[root@localhost ~]# vi /etc/keepalived/keepalived.conf
vrrp_instance VI_1
{
state MASTER
interface eth1
virtual_router_id 51
priority 100 #LB1= 101
advert_int 1
authentication {
auth_type PASS
auth_pass 1111
}
virtual_ipaddress {
172.30.10.254
172.30.1.100
}
}
*LB1 과 LB2의 priority는 달라야 한다.
[root@localhost ~]# service keepalived start
keepalived (을)를 시작 중: [ OK ]
4. 테스트
172.30.1.48 host 컴퓨터에서 172.30.1.100 vip 로 웹사이트 접근
주 server인 172.30.10.203에서 응답
Webserver 1과 2가 동시에 번갈아 가며 통신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.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서버구축] 클라우드 망 구축 기본 - XenSERVER (0) | 2021.04.17 |
---|---|
칼리리눅스 설치 2021 ( Kali 2021 linux install, VM ) (0) | 2021.04.09 |
네트워크 망/ 서버 구축 실습 1 - Switch L2,L3 (0) | 2021.04.09 |
[서버구축] Tomcat 9 CentOS 7 - 과정 (0) | 2021.03.25 |
[LEMP stack] WEB서버 구축(nginx, php-fpm, centos7) (0) | 2021.03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