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공부하는 블로그
- SQL 인젝션
- SQL 주석
- web 취약점
- http 취약점
- sql injection
- nginx
- SQL having group by
- Linux
- web 보안
- DOM 객체
- portswigger academy
- sql injection table name
- JS
- Injection 취약점
- HTTP request smuggling
- 웹 해킹 기초
- sql 인젝션 기초
- 웹 보안
- SQL Injection basic
- 웹서버구축
- Union injection
- SQL INJECTION DB NAME
- sql injection 데이터 추출
- Injection 공격 기초
- Injection 숫자형
- BOM 객체
- 웹 기초
- JavaScript
- php-fpm
- Today
- Total
목록HTTP request smuggling (2)
IMLENA
2021.09.01 - [WEB] - HTTP request Smuggling 취약점 1 2021.09.02 - [WEB] - HTTP request Smuggling 취약점 2 HTTP request smuggling 취약점 1,2에서 취약점을 찾는 방법을 공부했습니다. 이어서 취약점을 통한 exploiting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. 1. Bypass front-end security controls 몇몇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론트엔드 서버는 보안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. (개별적 요청을 허용할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 결정) 허용된 요청은 백엔드 서버로 전달되고 프론트엔드의 제약을 통과 한 것으로 인식된다. 즉 프론트엔드를 거쳐 백엔드로 들어온 요청에 대해서 백엔드 단에서 추가 확인을 하지 않는다. * 취..
2021.09.01 - [WEB] - HTTP request Smuggling 취약점 1 기존 글에 이어서 TE.CL 취약점, TE.TE취약점 1) TE.CL 취약점 프론트서버는 TE를 사용하고 백엔드서버는 CL 사용하여 request의 종료를 판단하는 경우 POST / HTTP/1.1 Host: website.com Content-Length: 3 Transfer-Encoding: chunked 8 SMUGGLED 0 프론트서버는 TE로 처리 하기 때문에 메시지 바디를 chunked encoding 방법으로 처리 한다. 첫번째 chunk는 8bytes로 SMUGGLED까지 인식하여 처리하고 두번째 chunk는 0 lenth로 request가 종료되었다고 판단 된다. 백엔드서버는 CL로 처리 하기 때문에..